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image]
2018년 시리아에서 작전 중인 USSOCOM 예하 부대원들이 모인 진귀한 사진으로 제1특전단 델타작전파견대(1st Special Forces Operational Detachment-Delta), 미합중국 육군 특전사, 제75레인저연대,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 미합중국 해병레이더연대 대원들이 모여 있다.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USSOCOM'''

[image]
'''역사'''
1987년 4월 16일~현재
'''분류'''
통합전투사령부
'''국가'''
[image] 미국
'''소속'''
[image] 미합중국 국방부
'''전신'''
미합중국 공격사령부 (1961~1972)
미합중국 즉응사령부 (1972~1987)
'''본부'''
플로리다 주, 탬파
'''사령관'''
리처드 D. 클라크 대장
1. 개요
2. 상세
3. 편제
4. 분류: 등급(tier)제
4.1. 티어 1
4.2. 티어 2
4.3. 티어 3
5. 역대 사령관
6. 활동 이력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USSOCOM'''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는 미합중국 국군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특수작전사령부들을 총괄하는 기능별 통합전투사령부(Unified Combatant Command)이다.

2. 상세


[image]
각군의 각기 다른 특수작전사령부를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은 다름아닌 1980년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독수리 발톱 작전(Operation Eagle Claw)의 실패와 1983년 그레나다 침공(Operation Urgent Fury) 등을 겪으면서 제기된 특수전 전력 강화의 목소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1987년에는 미 연방의회의 결정과 로널드 W. 레이건(Ronald W. Reagan) 미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대장이 사령관으로 부임할 정도의 막강한 권한을 갖추면서도 군종에 구애받지 않고 별도의 사업을 위한 예산을 요청할 수 있는 미 국방부 바로 아래의 통합전투사령부로 승인이 내려지면서 미국 플로리다탬파에 위치한 맥딜 공군기지(MacDill Air Force Base)에서 창설되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개최된 창설기념식으로 인해 세상에 그 존재가 드러나게 되었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미군이 관여된 대부분의 현대전 작전과 그외의 인도적 목적의 작전에 빠지지 않고 포함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 사령관은 리처드 D. 클라크 육군 대장으로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정책본부장을 맡던 중 대장 진급과 함께 부임했다.

3. 편제


[image]

4. 분류: 등급(tier)제


특수전사령부는 휘하의 특수부대의 등급(Tier)을 지출 예산 규모, 각 등급별 부대가 수행하는 임무의 전략적 중요도 등을 기준으로 매겨 운용한다. 따라서 전투부대가 아닌 부대도 등급이 매겨져 있다.

4.1. 티어 1


  • 육군 제1특전단 델타 작전 분견대(1st SFOD-D, 구 CAG, ACE 추측, 별칭 델타 포스)
  •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DEVGRU)[2]
  • ISA(Intelligence Support Activity, 정보지원활동대)
  • 공군 제24특수전술대대(24th Special Tactics Squadron)
  • 제75레인저연대 연대직할 수색중대(75th Ranger Regiment's Regimental Reconnaissance Company)
위의 4부대는 합동특수작전사령부(JSOC)의 직속명령을 받으며 특수임무부대(SMU)로 구분된다.

4.2. 티어 2


  • 육군 특전단 (그린베레)
  • 육군 제75 레인저연대
  • 육군 제160 특수작전항공연대 (나이트스토커)
  • 공군 제24특수작전비행단
  • 네이비 씰[4]
  • 해병레이더연대
육군과 해군 등 각 군별 특수전사령부 수준에서 운용된다.

4.3. 티어 3


  • 육군 민사심리전단

5. 역대 사령관


초창기에는 육군 공수부대, 레인저와 특전단 출신의 육군 대장이 보임되는게 당연하게 받아들여졌지만, 2000년대 들어서 공군과 해군에서 사령관이 많이 배출되었다. 2014년 8월 취임한 조셉 보텔 3세부터는 다시 육군 레인저 출신이긴 하다. 군생활 대부분을 공수부대와 특수전 분야를 위주로 구른 베테랑 장성들이 보임되는게 일반적이라 전문성은 끝내주지만 경력 자체가 특수전 쪽에만 치우쳐진 편도 있어서 합참에 진출하기보다는 임기를 마치면 예편하는게 일반적이다. 사령관이 육군이 다수인 이유는 육군의 특수전은 육군의 주력 전투병과인 보병에서 발전된 개념이라 어느 정도 육군이 요구하는 보편적인 지상전 분야도 숙지하고 있기에 주요 진급 코스도 무난하게 갈 수 있어 진급 등이 용이한 반면, 해공군은 특수전이 함정 및 항공기를 운용하는 군종 특성상 주요 전투 분야와 괴리가 심해 이 쪽으로 한 번 빠지면 장교들의 진급이 까다로워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미군 장성들이 사관학교 출신이 꼭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지만 그래도 만렙인 포스타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사관학교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편인데, SOCOM은 사관학교 출신이 적은 편에 속한다. 육사 출신이 겨우 두 명에 공사와 해사 출신이 한명씩 있다. 사병 출신도 있으며 육군 뿐만 아니라 해군 학군단 출신도 있다.
'''사진'''
'''이름'''
'''기간'''
'''계급'''
'''복무'''
'''비고'''
[image]
제임스 J. 린제이(James J. Lindsay)
1987년 4월~1990년 6월
육군
대장
퇴역
[5]
[image]
칼 W. 스타이너(Carl W. Stiner)
1990년 6월~1993년 5월
육군
대장
퇴역
[6]
[image]
웨인 A. 다우닝(Wayne A. Downing)
1993년 5월~1996년 2월
육군
대장
퇴역
[7]
[image]
헨리 H. 셸튼(Henry H. Shelton)
1996년 2월~1997년 9월
육군
대장
퇴역
[8]
[image]
레이먼드 C. 스미스 주니어(Raymond C. Smith, Jr.)
1997년 9월~1997년 11월
해군
소장
퇴역
임시 대리
[image]
피터 J. 슈메이커(Peter J. Schoomaker)
1997년 11월~2000년 10월
육군
대장
퇴역
[9]
[image]
찰스 R. 홀랜드(Charles R. Holland)
2000년 10월~2003년 9월
공군
대장
퇴역
[11]
[image]
브라이언 D. 브라운(Bryan D. Brown)
2003년 9월~2007년 7월
육군
대장
퇴역
[12]
[image]
에릭 T. 올슨(Eric T. Olson)
2007년 7월~2011년 8월
해군
대장
퇴역
[14]
[image]
윌리엄 H. 맥레이븐(William H. McRaven)
2011년 8월~2014년 8월
해군
대장
퇴역
[15]
[image]
조셉 L. 보텔(Joseph L. Votel)
2014년 8월~2016년 3월
육군
대장
퇴역
[16]
[image]
레이먼드 A. 토머스 3세(Raymond A. Thomas III)
2016년 3월~2019년 3월
육군
대장
퇴역
[17]
[image]
리처드 D. 클라크 주니어(Richard D. Clarke, Jr.)
2019년 3월~현재
육군
대장
현역
[18]

6. 활동 이력



[1] 2014년에 기존의 육군특전단사령부(Army Special Forces Command (Airborne))에다가 지원부대 등을 추가하여 만들었다.[2] 대테러 특수부대인 SEAL 6팀이 모종의 사정(리처드 마친코의 각종 위법행위와 SEAL 6팀이 자주 언론에 노출되어 은밀함이 생명인 대테러부대로서의 보안 문제 등)으로 인해 1987년 해체되고 같은 해 DEVGRU로 재창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위키백과에는 여전히 DEVGRU가 아닌 SEAL Team Six로 제목이 기재되어 있는 등 여전히 SEAL과 다를바 없는 인식이다.[3] 택티컬 포럼의 인터뷰에 나와있다.[4] DEVGRU를 제외한 나머지 SEAL 팀들이 여기에 속한다. 일부 SEAL 대원들이 "SEAL은 DEVGRU 빼고는 다 후져..." 하며 툴툴대는 경우가 있다.[3][5] 1953년 OCS로 임관한 82공수사단장, XVIII(18)공수군단장 출신.[6] 1958년 테네시 공과대학 ROTC로 임관한 82공수사단장, 합동특전사령관 출신.[7] 1962년 미국육군사관학교 졸업. 75레인저연대장, 합동특전사령관 출신.[8]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ROTC로 1942년 임관한 레인저, 특전단, 82공수사단장 출신. 3년 임기를 채우기도 전에 합동참모의장으로 지명되었다. 공교롭게도 퇴역 한달 앞두고 9.11 테러가 터져서 말년이 꽤 바빴던 양반.[9] 와이오밍대학교 ROTC 1969년 임관. 델타 포스 연대장 출신. 특전사령관 임기를 마치고 퇴역했지만 2003년 에릭 신세키 육군참모총장이 퇴임하자 현역에 복귀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올랐다. 동생인 에릭 슈메이커도 육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군의관 만렙인 육군 의무감(중장)까지 올랐다.[10] MH-53, MH-60 같은 침투용 헬기나 AC-130 같은 건쉽 등을 조종.[11] 최초의 공군 출신 사령관. 미국공군사관학교 1968년 졸업자로 공군 특수전 항공기[10] 조종사 출신이었으며 공군특수작전사령관직을 역임했었다.[12] 육군 특전단 사병 출신 장성. 장교로 임관한 후에는 특전단 뿐만 아니라 160특수전항공연대에서 조종사로 복무하여 연대장까지 올랐다. 합동특전사령관 출신.[13] 실제로 미 해군 특수전력 총인원과 부대 규모는 육군과 공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사령관도 육군과 공군의 경우 중장급이 기용되는 반면 해군은 소장급이 기용된다.[14] 미국해군사관학교 1973년 졸업. 특수전 분야에서 목소리가 크지 않은 해군[13]이라는 점도 있어서 전임자의 밑에서 부사령관으로 복무하며 예편할 것으로 보였지만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 DEVGRU 연대장 출신으로, 네이비 씰 역사상 최초의 4성제독이다. 모가디슈 전투에 델타를 따라 참가한 소수의 DEVGRU 인원을 이끌었고 모가디슈에서의 공로로 은성무공훈장을 받은 경력이 있다.[15]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해군 ROTC 1977년 임관. 올슨에 이은 역대 두번째 SEAL 4성제독이다.[16] 미국육군사관학교 1980년 졸업. 75레인저연대장, 합동특전사령관 출신. 2000년대 들어 SOCOM이 사령관 보직의 다변화를 꾀하며 공군/육군항공/해군이 사령관을 배출하다가 오랜만에 레인저 출신이 나왔다. 2016년 중부사령관으로 영전했다.[17] 전임자인 조셉 보텔과 함께 레인저 출신이긴 하지만 이후 델타포스에서도 지역대장과 대대장으로 복무한 경력이 있다.[18] 75레인저연대장, 82공수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계획·정책본부장 역임. 넵튠 스피어 작전 당시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작전처장 역임. [19] 걸프전쟁의 여파로 핍박받는 쿠르드족에게 물자를 지급하고 보호하기 위한 작전이다.[20] 쿠데타로 집권한 아이티의 군부 축출을 위해 개입한 작전이다.